• 홈
  • 로그인
  • 회원가입
성명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14. 3. 24. 「양육비 이행확보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이후, 양육비 이행확보 등을 지원하여 미성년 자녀의 안전한 양육환경을 조성하겠다는 입법목적에 따라 양육비이행관리원이 설립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 4차례에 걸친 「양육비 이행확보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의 개정에도 불구하고, 양육비 미이행률은 여전히 높고 양육비이행체계는 거의 개선되지 않았다.

 

양육비이행관리원이 그 설립취지에 맞게 우리 아이들의 양육비를 신속하게 확보하고 지원하기 위해서는, 양육비이행관리원에 법적·제도적 지원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예산과 인력이 확보되고 이에 상응하는 권한은 물론 법에 규정된 대로의 권한을 원활하게 행사할 수 있도록 독자적인 법적 지위가 보장되어야 한다.

 

해외 입법례를 살펴보면, 양육비이행관리기관은 모두 독립기관으로 설치되어 있고, 국가기관이거나 행정기관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사회적 필요성의 논의 끝에 설립된 우리나라 양육비이행관리원은 독립된 기관은 고사하고, 여성가족부 산하 공공기관 중 한 곳인 한국건강가정진흥원 내의 하부 조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지난 국정감사와 그에 따라 최근 의결된 국정감사 결과보고서에 담긴 시정조치 내용들을 보면, 양육비이행관리원은 기획재정부로부터 승인받은 인력의 약 40% 정도를 배정받지 못하고, 조직은 지속적으로 축소되었으며, 그 와중에 변호사 인력의 대거 이탈까지 있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는 양육비이행관리원과 사업방향이 전혀 다른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하부조직으로서 자리매김된 태생적 한계 때문은 아닌지 의심되는 측면이 있다.

 

따라서 양육비이행관리원이 설립취지대로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선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양육비 이행을 실질적으로 담보하기 위해서는 이행관리원이 업무수행의 중요성에 상응하는 조직과 체계를 갖추고 그에 걸맞은 위상을 가져야 한다. 이행관리원은 독립된 기관으로서의 지위를 가져야 함은 물론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한 권한을 가져야 한다.

 

이에 한국여성변호사회는 양육비이행관리원을 법인격을 갖춘 독립기관으로 만들어 양육비이행전담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양육비이행관리원을 한국건강가정진행원의 하부조직으로 규정한 「양육비 이행확보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7조는 양육비이행관리원을 법인격을 갖춘 독립기관으로 규정하는 개정이 필요하다.

 

둘째, 양육비이행 전담기관 운영을 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사업으로 규정하고 있는 「건강가정기본법」 제34조의 2 제4항 제7호*는 삭제되어야 한다.

 

양육비는 우리 아이들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이고, 아동의 복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양육비 지급은 한 가정의 사적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와 국가가 적극적으로 개입하여야 할 문제이다. 저출산시대에 무작정 아이를 낳으라고만 할 것이 아니라, 어떤 상황에서든 아이가 태어나면 잘 기를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질 수 있는 정책과 제도, 인식개선이 필요하다. 한부모 가정이 되어도 아이가 양육비를 잘 지급받아 안전하게 성장할 수 있다는 믿음을 주어야 한다.

 

아동은 우리 사회가 절대적으로 보호해야 할 미래이다. 한국여성변호사회(회장 김학자)는 앞으로도 사회적 약자인 아동의 권리보호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입법과 제도를 제안해 나갈 예정이다.

 

 

 

2023. 3. 13.

 

(사)한국여성변호사회

회  장   김 학 자

 

 

 

*제34조의2(한국건강가정진흥원의 설립 등)

⑦ 진흥원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한다.

4.「양육비 이행확보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양육비 이행 전담기관 운영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7 [2020. 3. 24.] 한국여성변호사회, 텔레그램 n번방 성폭력 피해자 지원 및 법제 개선에 나선다 :피해자법률지원 변호인단 출범 및 디지털성범죄처벌법 제정 촉구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03.25 1212
106 [2020. 4. 16.] 정부 및 지자체(송파구청) 등에 의한 성범죄 피해자 개인정보유출 재발방지를 촉구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04.16 659
105 [2020. 4. 17.] 법무부의 아동·청소년 보호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 표명을 환영하며, 20대 국회는 이에 부응하여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조속히 통과시킬 것을 촉구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04.17 589
104 [2020. 5. 7.] 20대 국회, 양육비 이행확보방안 반드시 마련해야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05.07 555
103 [2020. 5. 22.] 다행히도 이번 20대 마지막 본회의에서 n번방 재발방지법과 양육비이행제재 법안이 통과된 것을 환영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05.22 575
102 [2020. 6. 2.] "직장내 성추행범죄행위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환영하며 엄중한 판단을 촉구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06.02 635
101 [2020. 6. 10.] 아동학대사망사건 더 이상 재발하지 않도록 실효적 대책을 촉구한다- 「포용국가 아동정책」 적극 이행하라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06.10 807
100 [2020. 6. 11.] 아동학대사건 재발방지를 위한 민법상 징계권 삭제 및 자녀체벌금지의 법제화에 적극 찬성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06.11 867
99 [2020. 7. 8.] 美 송환불허, 손정우에게 사실상 면죄부 준 결정으로 향후 디지털성범죄에 대한 엄중한 처벌과 판단을 촉구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07.08 771
98 [2020. 7. 19.] 고 박원순 시장 성추행 사건에 대한 강제수사 즉시 착수를 촉구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07.20 890
97 [2020. 12. 14.] 양육비 이행의 실효적인 수단을 마련한 '양육비 이행확보 및 지원에 관한 법률개정안'의 국회 본회의 통과를 환영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12.14 555
96 [2020. 12. 15.] 현직 판사가 법률신문에 게재한 '페티쉬'라는 제목의 칼럼에 유감을 표명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0.12.15 952
95 [2021. 1. 4.] "정인이"학대사망 사건에서 가해부모에 대하여 살인죄로 의율함과 더불어 아동학대사건에서의 초동조사의 실효성을 확보할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1.01.04 1009
94 [2021. 1. 12.] 한국여성변호사회는 제51대 대한변호사협회 협회장 선거에서 기호 2번 조현욱 후보자를 공개 지지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1.01.12 763
93 [2021. 2. 19.] 용화여고 스쿨미투 사건에 대한 법원 판결을 환영한다 (사)한국여성변호사회 2021.02.19 66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Next
/ 11